건강검진 혈액검사 종류 & 질환 유형 총정리
건강검진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검사 중 하나가 혈액 검사(피검사)입니다. 피검사를 통해 다양한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건강검진에서 시행되는 혈액 검사 종류와 각 검사가 진단하는 질환 유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혈액 검사의 주요 종류와 진단 가능한 질환
검사항목 | 검사목적 | 진단 가능한 질환 |
일반 혈액 검사 (CBC) | 혈액 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치 확인 | 빈혈, 염증, 감염, 백혈병 등 혈액 질환 |
간 기능 검사 (LFTs) | 간 기능과 효소 수치 확인 | 간염, 지방간, 간경화, 간암 |
신장 기능 검사 (BUN, 크레아티닌) | 신장 기능 및 노폐물 배출 능력 평가 | 신부전, 신장염, 신장질환 |
혈당 검사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 혈당 조절 상태 확인 | 당뇨병, 저혈당증 |
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 혈중 지질 수치 확인 |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 |
전해질 검사 (나트륨, 칼륨, 칼슘 등) | 체내 전해질 균형 확인 | 탈수, 신장병, 부정맥 |
갑상선 기능 검사 (TSH, T3, T4) | 갑상선 호르몬 수치 확인 |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
염증 수치 검사 (CRP, ESR) | 몸속 염증 여부 확인 | 감염,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면역질환 |
암 표지자 검사 (종양표지자) | 특정 암 가능성 확인 | 간암(AFP), 대장암(CEA), 췌장암(CA19-9), 전립선암(PSA), 난소암(CA125) |
B형·C형 간염 검사 (HBsAg, HCV Ab) | 간염 바이러스 감염 여부 확인 | B형·C형 간염 |
매독·에이즈 검사 (VDRL, HIV) | 성병 감염 여부 확인 | 매독, 에이즈(HIV) |
2. 일반 혈액 검사(CBC, 혈구 수치 검사)
가. 검사 항목: 적혈구(RBC), 백혈구(WBC), 혈소판(PLT), 혈색소(Hb) 등
나. 진단 가능 질환:
- 빈혈 (철결핍성 빈혈, 악성 빈혈)
- 백혈병, 림프종 (백혈구 이상 증가)
- 감염 및 염증 (백혈구 수치 변화)
- 혈소판 이상 (출혈성 질환, 혈전 위험)
▶주의할 점: 수면 부족, 스트레스, 감염 상태일 경우 일시적으로 혈액 수치가 변할 수 있음
3. 간 기능 검사 (LFTs, Liver Function Test)
가. 검사 항목: AST(GOT), ALT(GPT), ALP, 빌리루빈, 알부민 등
나. 진단 가능 질환:
- 간염 (B형, C형 간염)
- 지방간 (음주성·비알코올성 지방간)
- 간경화, 간암
- 담낭 및 담도질환
▶ 주의할 점: 검사 전 최소 8시간 금식해야 정확한 결과 확인 가능
4.. 혈당 검사 (당뇨 검사)
가. 검사 항목: 공복혈당, 당화혈색소(HbA1c)
나. 진단 가능 질환:
- 당뇨병 (공복혈당 126mg/dL 이상, HbA1c 6.5% 이상)
- 저혈당증
▶ 주의할 점: 공복 상태에서 검사(8시간 이상 금식)
5. 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검사)
가. 검사 항목: 총 콜레스테롤, LDL(나쁜 콜레스테롤), HDL(좋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G)
나. 진단 가능 질환:
-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 증가)
▶ 주의할 점: 검사 전 12시간 금식해야 정확한 수치 측정 가능
6. 암 표지자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검사 항목 | 의심 질환 (관련 암 종류) |
AFP | 간암, 간경화 |
CEA | 대장암, 폐암, 위암 |
CA19-9 | 췌장암, 담도암 |
PSA | 전립선암 |
CA125 | 난소암 |
▶주의할 점: 암 표지자 검사는 참고용이며, 확진을 위해선 추가 검사(CT, MRI, 조직검사 등)가 필요
7. 건강검진 피검사 전 준비 사항
▶ 8~12시간 금식 필수 (공복혈당, 지질 검사 등)
▶ 술·카페인·기름진 음식 삼가기 (검사 결과에 영향)
▶ 약물 복용 중이라면 미리 의료진과 상담
▶ 컨디션이 좋지 않을 경우 검사 연기 고려 (감기, 염증 등)
결론: 어떤 피검사를 받아야 할까?
▶ 기본 건강검진 → CBC, 간 기능, 신장 기능, 혈당, 지질 검사
▶ 심혈관질환 위험군 (고혈압, 당뇨, 가족력 등) → 지질 검사, 혈당 검사, 전해질 검사
▶ 간 건강이 걱정된다면 → 간 기능 검사, B형·C형 간염 검사
▶ 암 가족력이 있다면 → 종양표지자 검사
▶ 갑상선 질환 의심 (피로, 체중 변화, 탈모 등) → 갑상선 기능 검사
건강은 예방이 최선입니다.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고, 검사 결과에 따라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질병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MRI vs 뇌 MRA 차이는? (0) | 2025.04.06 |
---|---|
여성 나이별 건감검진 필수 항목 (0) | 2025.04.05 |
건강검진 CT, MRI, 초음파 검사 어떤증상일때 받을까 (1) | 2025.04.04 |
봄철 차량 관리 핵심포인트 5가지 (1) | 2025.04.04 |
일본 로또 당첨 수령 절차는? (2)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