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상비약과 직장 상비약 비치 조건
가정과 직장에서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상비약을 준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가정과 직장의 환경이 다르므로, 비치해야 할 약품의 종류와 조건도 차이가 있다.
1. 가정용 상비약 비치 조건
✔ 필수 조건:
- 가족 구성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준비
- 유통기한 및 사용법을 확인하여 정기적으로 점검
- 어린이 안전을 위해 잠금장치가 있는 장소에 보관
- 습기,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보관
▶ 기본 구성 약품
-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 소화제: 정장제(유산균), 소화효소제, 제산제
- 감기약: 종합 감기약, 코막힘 치료제, 기침약
- 소독 및 외상 처치제: 과산화수소수, 포비돈 요오드, 밴드, 거즈, 소독용 알코올
- 알레르기·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지르텍, 알레그라)
- 지사제·설사약: 로페라마이드(지사제), 수분 보충제
- 벌레 물림·연고류: 항히스타민 연고, 화상 연고, 상처 치료 연고
- 기타: 개인 복용 약(고혈압약, 당뇨약 등), 체온계, 멸균 거즈, 핀셋
2. 직장(사업장) 상비약 비치 조건
▶ 필수 조건: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상비약 비치는 의무 사항 아님(단, 사업장 규모나 업종에 따라 권장)
- 공용 공간(휴게실, 응급 의료함)에 비치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함
- 개봉한 약품은 사용기한 확인 후 교체
- 개별 약 사용 시, 사용 여부 기록을 관리(특정 약의 과다 사용 방지)
▶ 기본 구성 약품
- 진통제·소염제: 두통, 근육통, 생리통 완화제(타이레놀, 이부프로펜)
- 소화제: 속 쓰림, 소화불량 개선제(겔포스, 훼스탈)
- 감기약: 종합 감기약, 목캔디, 기침약
- 외상 치료제: 소독약(포비돈 요오드, 알코올), 밴드, 상처 연고
- 근육통 완화제: 파스, 근육통 완화 크림
- 알레르기약: 항히스타민제(알레그라, 클라리틴)
- 소화기 장애 관련 약품: 지사제, 변비약, 수분 보충제
- 응급 처치 용품: 일회용 장갑, 핀셋, 거즈, 붕대
추가 고려 사항
- 의약품 보관 온도: 적정 온도 유지(고온·습기 피하기)
- 비상 연락망 준비: 응급 상황 시 가까운 병원 또는 119 연락처 확보
- 직장 내 비치 기준 검토: 산업안전 관련 법규 확인(산업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직종은 별도 구급함 준비)
▶ Tip: 직장에서는 복용 후 졸음이 올 수 있는 감기약이나 항히스타민제는 주의 표시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 가정과 직장 모두 상비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응급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보험금 유동화제도" 연금으로 받을수 있어요 (2) | 2025.03.12 |
---|---|
핸드폰 요금 30% 절약하는 방법 (0) | 2025.03.11 |
2025년 5G요금제 3만원대 신설 (0) | 2025.03.10 |
열공성 뇌경색 진단과 보험금 지급 사례 (0) | 2025.03.08 |
로또 당첨금 구조 및 세금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