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가정용 상비약과 직장 상비약 비치

by 브루스블루 2025. 3. 11.

 가정용 상비약과 직장 상비약 비치 조건

가정과 직장에서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상비약을 준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가정과 직장의 환경이 다르므로, 비치해야 할 약품의 종류와 조건도 차이가 있다.

상비약 KIT

 

1. 가정용 상비약 비치 조건

✔ 필수 조건:

  • 가족 구성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준비
  • 유통기한 및 사용법을 확인하여 정기적으로 점검
  • 어린이 안전을 위해 잠금장치가 있는 장소에 보관
  • 습기,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보관

▶ 기본 구성 약품

  1.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2. 소화제: 정장제(유산균), 소화효소제, 제산제
  3. 감기약: 종합 감기약, 코막힘 치료제, 기침약
  4. 소독 및 외상 처치제: 과산화수소수, 포비돈 요오드, 밴드, 거즈, 소독용 알코올
  5. 알레르기·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지르텍, 알레그라)
  6. 지사제·설사약: 로페라마이드(지사제), 수분 보충제
  7. 벌레 물림·연고류: 항히스타민 연고, 화상 연고, 상처 치료 연고
  8. 기타: 개인 복용 약(고혈압약, 당뇨약 등), 체온계, 멸균 거즈, 핀셋

 2. 직장(사업장) 상비약 비치 조건

 필수 조건: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상비약 비치는 의무 사항 아님(단, 사업장 규모나 업종에 따라 권장)
  • 공용 공간(휴게실, 응급 의료함)에 비치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함
  • 개봉한 약품은 사용기한 확인 후 교체
  • 개별 약 사용 시, 사용 여부 기록을 관리(특정 약의 과다 사용 방지)

 기본 구성 약품

  1. 진통제·소염제: 두통, 근육통, 생리통 완화제(타이레놀, 이부프로펜)
  2. 소화제: 속 쓰림, 소화불량 개선제(겔포스, 훼스탈)
  3. 감기약: 종합 감기약, 목캔디, 기침약
  4. 외상 치료제: 소독약(포비돈 요오드, 알코올), 밴드, 상처 연고
  5. 근육통 완화제: 파스, 근육통 완화 크림
  6. 알레르기약: 항히스타민제(알레그라, 클라리틴)
  7. 소화기 장애 관련 약품: 지사제, 변비약, 수분 보충제
  8. 응급 처치 용품: 일회용 장갑, 핀셋, 거즈, 붕대

 추가 고려 사항

  • 의약품 보관 온도: 적정 온도 유지(고온·습기 피하기)
  • 비상 연락망 준비: 응급 상황 시 가까운 병원 또는 119 연락처 확보
  • 직장 내 비치 기준 검토: 산업안전 관련 법규 확인(산업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직종은 별도 구급함 준비)

Tip: 직장에서는 복용 후 졸음이 올 수 있는 감기약이나 항히스타민제는 주의 표시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가정과 직장 모두 상비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응급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